100_Apps/Stable Diffusion

[❤️ 심장에 대하여] 심장 전기축 (ECG Cardiac Axis) - LAD 심전도 분석

진실에게 묻다 2024. 4. 11. 01:32

병원으로 들어오는 여자 분은 제가 Stable Diffusion을 이용해서 생성한 AI모델입니다. 가상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응급실로 입원한 38세 여자 환자는 입원 전에 2일  동안 가슴 통증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고혈압과 당뇨가 어린 시절에 발견되었으며
현기증과 더불어 두통이 간헐적으로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호전되었습니다. 그러나 원인을 찾고 싶고 자세한 설명을 원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심전도 검사를 통해서 심장의 상태를 알아 보아야 합니다.
환자에게 심장 상태를 올바로 해석을 해주기 위해서 심장 축(심장 전기축)과 심전도의 사지(팔다리) 유도(Limbs Lead)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심전도 검사를 한 후에 이 환자가 의사 선생님 혹은 간호사 선생님을 통해서 듣게 되는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심전도 검사를 받은 경우, 이런 증상을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의사 선생님 혹은 간호사 선생님은 심전도 차트를 본 후에
위와 같은 단어가 포함을 하여 우리들에게 말씀하실 것입니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살~짝 의학적 지식이 필요 합니다.
오늘은 이들에 대한 기초 지식 습득을 위해 공유하겠습니다.

심장의 동굴심방결절(동방결절, Sainoatrial node: SA node)에서 발생되는 전위를 심전도(ECG 혹은 EKG) 기계를 통해서 기록을 합니다. 이를 위해 팔다리와 가슴벽에 금속 전극을 부착하여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증폭,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기록되는 전기의 최종적인 방향을 "심장 전기축 혹은 심장축"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를 합니다.

1. 정상축 (Normal Axis)
2. 왼쪽 편위축(Left Axis Deviation: LAD)
3. 오른쪽 편위축 (Right Axis Deviation:  RAD)
4. 불모지축(NO man's Land Axis)

정상축-30°에서 +90° 사이의 QRS 축입니다.
근본적으로 병리를 나타내는 비정상적인 축 편차는 다음과 같이 입증됩니다.

  • 왼쪽 축 편차(편위)  = QRS 축이 -30° 미만입니다.
  • 오른쪽 축 편차(편위)  = +90°보다 큰 QRS 축.
  • 극단적인 축 편차(편위)  = -90°에서 180° 사이의 QRS 축(일명 "북서 축").


🫦참고: 다음 그림에서 화살표는 심장 근육의 탈분극이 진행하는 방향의 합을 나타냅니다.

심장축은 심장의 개별 세포에 의해 생성된 탈분극 벡터의 합을 나타냅니다. 임상적으로는 심실 축에 반영되며 해석은 QRSECG사지유도(limb lead) 사이의 관계를 통해 결정합니다

정상적인 어린 아이의 경우에 심장 축은 출생 시에 +30도에서 +190도 사이에 위치하며
나이가 들면서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 ECG에서 심장축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ECG 만으로도 나이를 짐작할 수가 있겠네요 ~ 와 ~~ 신기합니다. 

결론적으로 심장축은 4가지로 분류 가능합니다.

QRS 축을 해석하는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

예제를 통해서 심장 축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응급실로 입원을 하였던 위 환자의 심전도 검사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습니다.  심장의 상태를 알아보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심장축을 알아내는 것을 하겠습니다. 위 환자의 심장축은 몇 도일까요?
정답은 왼쪽으로 -45도 편위되었으며, LAD 상태입니다.

(해설)

1. 우선적으로 리드1과 리드 aVF의 QRS에 집중합니다.

2. 각각의 리드에서 크기를 비교하여  양성(positive), 등전성(등상성)(isoelectric,equiphasic) 또는 음성(negative) 여부를 판단합니다

3. 사분면에 표시를 하여 중복된 부분을 찾아냅니다. 0도에서 -90도가 중복이 됩니다.

4. 크기와 방향을 계산합니다.

5. 심장축은 왼쪽으로 약 45도 정도 편위되었습니다.
따라서 심장축의 방향은 LAD(Left Axis Deviation)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