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_물리치료 Healing is Voltage
[발에 대하여] 1_ 평발에 대하여 - 발목도 아프고, 무릎이 끝까지 잘 안펴져요 ~ 부었어요~
왼손오른손겸손
2021. 6. 21. 16:39
오늘은 평발(편평족, Pes planus, flat foo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
분석을 하기 전에 정상적인 모습과 변형된 모습을 함께 학습하겠습니다
먼저 왼발을 살펴보겠습니다. 아킬레스건의 모습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평발(편평족, flatfoot, pes planus) 입니다. 평발은 안쪽 세로발바닥활(medial longitudinal arch)이 소실되어 발바닥이 편평해지는 변형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유연성 평발 (flexible pes planus) |
강직성 평발 (rigid pes planus) |
ㅇ 체중부하시 발바닥활이 사라지며 발바닥이 편평해진다 ㅇ 비체중부하시 발바닥활이 나타나며 발바닥이 편평해지지 않는다 |
ㅇ 체중부하시 및 비체중부하시 모두 발바닥활이 사라지며 발바닥이 편평해진다 즉 체중부하 유무와 관계없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
- 발뒤부분(hindfoot): 약 6~8도 바깥굽음 (중등도 Valgus)
* Mild경미(4~6도), Moderate중등도(6~8도), Severe중증도(10~15도)
![]() |
![]() |
목말발허리뼈 각도(talometatarsal angle)를 이용하여 평발, 까치발, 정상발을 구분합니다.
페이스 선(Feiss line)의 높이 측정(체중부하/비체중부하: 발배뼈 결절, 2번 측정; 1도, 2도, 3도 결정)
ㅇ 사진 분석
1. 선 자세에서 (체중 부하)
- 왼발과 오른발 모두 목말밑 관절(subtalar joint)에서 엎침(pronation) 상태,
즉 목말밑관절 아탈구 상태입니다
- 목말밑 관절의 엎침으로 인해
1) 발꿈치뼈는 가쪽들림(가쪽번짐, eversion) 상태이고
2) 중간발목관절(mid tarsal)은 바깥굽은 형태(valgus type) 의 변형
구분 | 분석 내용 |
목말밑관절이 엎침(pronation) 목말밑관절이 아탈구(subluxation) |
- 안쪽에 있는 세모인대가 약해진 상태임 |
발목관절 바깥돌림(eversion) | - 약해진 세모인대로 인해 목말밑관절(subtalar joint), 목말발배관절(talonavicular joint), 목말종아리관절(talofubular joint)에서 바깥돌림(eversion) 상태임 |
발뒤꿈치 바깥굽음(valgus) | - 바닥쪽 발꿈치발배인대(plantar calcaneonavicular ligament) 이완 - 뒤정강이건(posterior tibial tendon) 이완 |
중간발목관절 바깥굽음(valgus) | - 바닥쪽 발허리인대(plantar metatarsal ligament) 이완 |
중간발허리관절 안쪽으로 벌어짐(varus) | |
엄지발가락 바깥돌림(valgus) |
세모인대(deltoid ligament |
세모인대(deltoid ligament)는 넓고 팽창성 있으며, 목말종아리관절의 안쪽곁인대를 삼각형 형태의 모양에 근거해 작명하였다. 세모인대의 일차적 기능은 목말종아리관절, 목말밑관절, 그리고 목말발배관절을 가로지르는 가쪽들림(eversion)을 제한한 것이다. |
#1_마사지 치료
자세(Position) | 다리펴고 앉은자세 |
목적(Targets) | 무릎뼈 가동성 |
요령(Instructions) | ㅇ 환자는 무릎을 펴고 길게 앉는다. 무릎넙다리관절 밑에 작은 수건을 놓으면 잠김(packed)을 막는다 A: 아래로 밀기(Inferior Glide) B: 옆으로 밀기(Lateral Glide) C: 안으로 밀기(Medial Glide) D: 위로 밀기(Superior Glide) |
보상(Substitutions) | 다리는 반드시 안정적이어야 한다 |
운동횟수 | 5초 유지, 10회 반복, 하루에 1~3회 |
#2_운동치료
자세(Position) | 바로누운 자세 |
목적(Targets) | 다리 폄 증대를 위한 정강넙다리뼈 가동성 증대, 앞쪽 윤활주머니 스트레칭 |
요령(Instructions) | ㅇ 환자는 무릎밑 오금부위에 수건을 놓는다 ㅇ 손깍지를 껴서 정강뼈에 대고 무릎을 가슴쪽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무릎을 구부린다 ㅇ 수건을 누른다 |
보상(Substitutions) | 골반이 뒤쪽으로 뒤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코어근육과 엉덩근육을 안정화시킨다 |
운동횟수 | 3~5초 유지, 10회~20회 반복, 하루에 1~3회 |
#3_테이핑 치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