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_물리치료 Healing is Voltage
[발에 대하여] 4_걸을 때 정상적인 발목에서 생기는 관절 움직임
왼손오른손겸손
2021. 7. 17. 20:36
(출처: Applied kinesiology, 데이비드 월터, 596쪽)
#1_걸을 때 관절의 움직임
- 발꿈치 접촉(heel strike)시
목말밑관절(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은 뒤침(supinated, 회외전)되어 있으며
정강뼈(경골, tibia)는 가쪽돌림(외회전, external rotation)되어 있다
- 발이 지표면과 전체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면,
급격하게 엎침(pronated,회내전)이 시작되며
목말밑관절(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은 중립위치로 돌아오기 시작하고
정강뼈(경골, tibia)는 안쪽돌림(내회전, internal rotation)이 일어난다
- 발의 엎침(pronation,회내전)은 해로운 것이 아니며
과도한 엎침(pronation,회내전) 이나 과도한 뒤침(supination, 회외전)에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것이 해로운 것이다
과도한 엎침의 5가지 나쁜 징후 |
1. 보행시 나타나는 편평발(Foot Flate) |
2. 선자세에서 나타나는 무릎 안쪽돌림 (Internal Knee Rotation) |
3, 선자세에서 나타나는 휘어진 아킬레스건 (Bowed Archilles Tendon) |
4. 선자세에서 나타나는 낮아진 안쪽세로활 (Low Medial Arches) |
5. 과도하게 신발가쪽이 마모됨 (Excessive Shoe Wear) |
- 안쪽세로활의 충격흡수장치로서 중요하며
보행주기의 입각기중에서 발의 일부가 접촉하는 발꿈치 접촉(heel strike)부터 발의 전체가 접촉할 때까지
엎침(pronation,회내전)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2_발의 엎침(회내전, pronation)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발중간부, 발뒤부, 정강뼈, 무릎관절에 문제가 발생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