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7_줄기세포치료 및 면역 치료

NK세포에 대한 조사 2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81110/92812547/1

ㅇ 치료비 1회 800만원, 1사이클 4,000만원 (비행기와 숙박비 제외)
ㅇ 슈퍼NK는 NK max치료를 의미합니다
일본원정 암환자


● 이뮤즈바이오 (대표 황성환, 강정화) : 일본 시장 진출

(주)이뮤즈바이오
강정화 대표이사
ㅇ 업의 개념: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ㅇ 후보물질: NK면역세포치료제 ‘MYJ1633’은 해외에서 치료제로 승인
ㅇ 적응질환: 암 질환 및 난치성 면역질환 치료
ㅇ 사업분야: 면역세포치료제, 기능성화장품(Cosmeceutical),배양자동화, 기술수출
ㅇ 소재지: 인천 서구 심곡동 365 국제성모병원 마리스텔라 지하2층

관련 기사: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685

 

● 진메신 : 341억원 규모의 시리즈B 펀딩 완료

(주)진메디신
윤채옥 대표이사(58)
ㅇ 2014년 11월 설립
ㅇ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ㅇ 하버드대에서 박사후과정
ㅇ 2000년 연세대 의과대학과 , 한양대 공과대학에서 교수직을 역임
ㅇ 하버드대에서 유전자 치료제 연구를 시작,
ㅇ 유전자를 변형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항암바이러스 분야 연구에 매진
  - 항암 바이러스는 표적항암제나 면역항암제의 부작용을 극복할 차세대 항암 신약이다
ㅇ 논문 215편과 특허 150종
ㅇ 유전자 치료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몰레큘러세러피(Molecular Therapy)’의 부편집장을 11년째 맡고 있음
ㅇ 파이프라인
  1) 다양한 종류의 내성암을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준비 중인 항암바이러스 GM101,
  2) 췌장암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준비 중인 GM102,
  3) 전이성 간암 및 폐암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준비 중인 GM103 
 <GM 항암바이러스>
  - 정교한 유전자 변형을 통해 아데노바이러스가 강한 종양 선택성을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 암세포에서만 증식 및 암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 암세포가 만들어내는 신생혈관을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 차단하며,
  - 면역 관련 치료유전자를 대량 발현시켜 종양 특이적 면역반응을 강력히 유도한다는 점 등이 특징이다.

ㅇ기술
  -바이러스가 체내 어디서든 암세포를 찾아 공격할 수 있는 전신투여용 플랫폼 기술
관련기사: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33421

ㅇ 341억원 규모의 시리즈B 펀딩을 완료(투자회사: 포스코기술투자와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윈베스트벤처투자)
관련기사: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07291113432240104963&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 NK세포치료제 관련주 : 일본 시장 진출

회사명  
네이처셀 - 파이프라인 중에서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알치하이머 치료제 '알키오스템' 등이 있습니다. NK세포관련 사업에도 진출을 하였습니다.
(관련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4085623)
흥미로운것은 (주)이뮤즈바이오, (주)엔케이맥스 등은 국내에서혹은 FDA 임상을 하고 있는데, 이 회사는 NK세포관련 임상을 하고 있지 않은데, 사업에 진출한다고 합니다.

-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클리닉과의 기술협약을 통해
  악성종양(암)의 치료에 대한 자가NK세포요법에 ㅇ대해 일본 후생성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승인을 받음
※첨생법에 대해 설명에 기록되어 있듯이, 자가NK세포요법은 일본 재생의료법 승인단계에서 가장 낮은 단계입니다. 3종이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비교적 위험성이 낮은 치료법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승인절차가 그리 어렵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나름의 절차를 통과한 것은 대단한 것입니다.

- NK세포를 활용한 항앙세포치료제 개발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