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면역세포의 억제수용체

면역세포 표면에 있는 억제기전의 수용체 (되돌아가기: 항암치료의 역사) 면역세포 표면에 있는 억제기전의 수용체 (IR; Inhibitory Receptors) ① PD-1 ② CTLA-4 ③ LAG-3 ▶ CTLA-4 가장 중요한 면역관문 단백질 중 하나인 Cytotoxic T Lymphocyte Antigen-4 (CTLA-4)는 T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며 항원표지세포의 B7과 결합하여 T세포의 활성화 신호를 차단할 수 있고, 음성신호전달을 매개할 수 있다. ▶ PD-1 PD-1은 활성화된 T세포(면역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다. CD279,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이라고도 한다. 암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L1, PD-L2가 T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1과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 더보기
항암치료의 역사 전통적인 세포독성 항암제(화학요법)의 문제점을 극복해 암세포만 골라 공격하는 표적항암요법에 이어, 최근에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게 만드는 면역항암요법까지 등장했다 1세대 2세대 3세대 세포독성 항암제(화학요법) 표적항암요법 면역항암요법 (immuno onchology) 종양 자체를 공격하는 치료방법 종양 자체를 공격하는 치료방법 면역체계에 합성 면역단백질(man-made immune system proteins)과 같은 요소를 추가해 면역체계를 자극해 종양 세포를 공격하는 치료방법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구분 없이 죽였다. 영화에서 암 치료를 하면 머리나 이가 빠지는 경우를 봤을 텐데, 1세대 항암제 부작용이라고 보면 된다 온코제닉(Oncogenic) 신호라고 해서 암 발병..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