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의료분야에서 줄기세포 서비스 도입 |
#1_ 배경 및 목적 |
ㅇ 노령화가 촉진된 미래 사회에서 의료산업의 핵심은 재생의학이고, 이것의 핵심은 세포기술이 될 것임은 자명함
따라서 선진 각국은 줄기세포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에 경쟁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상태임
이에 줄기세포 분야에서 선진 각국의 기술 분야, 재생의학 관련 법 및 제도의 동향 파악이 필수적임
ㅇ 국내 줄기세포의 역량 및 산업 생태계 분석을 기반으로 글로벌 줄기세포 이슈 및 트렌드를 분석하여
향후 10년 먹거리 확보를 위한 줄기세포치료 비전 및 목표, 세부 추진전략 등을 수립해야 함
ㅇ 줄기세포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분야이다.
산업적 유망성을 지니고 있으며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확대되는 추세임
ㅇ 연구중심 R&D 에서 산업화 단계의 실용화 R&D로 트렌드가 전환되고 있음
- 줄기세포는 심혈관질환 분야로 50% 이상의 시장이 형성되며 가장 많이 응용되며 심혈관질환에서의 줄기세포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전망됨
- 현재도 골정형에 줄기세포가 활용되고 있으나 줄기세포는 당뇨, 폐질환, 면역질환 등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됨
ㅇ 줄기세포의 패러다임 변화
구분 | 줄기세포 1.0 | 줄기세포 2.0 | 줄기세포 3.0 |
패러다임 | 성체줄기세포 2차원 |
전분화능세포 2차원 |
환자 맞춤형 3차원 조직 및 장기 |
대표적 기술혁신 | 골수 이식 | 배아줄기세포 조작 | 리프로그래밍 기술 |
주요 활용처 | 병원 | 병원, 뱅킹회사 | 병원, 제약회사, 제조사 |
ㅇ 각 국가는 글로벌 시장을 선정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따라서 국내의 줄기세포 연구 역량 및 기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계획 수립이 필요함
- (글로벌 줄기세포 트렌드 분석)
논문· 특허 현황 및 주요 이슈·성과를 조사·분석하여 최근 연구트렌드 변화,
국가별 기술 수준 및 경쟁력, 주요 플레이어 등을 파악
ㅇ 각 병원/의원 역시 줄기세포 시장 진입 및 필요 역량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안) 마련이 필요함
- 줄기세포 연구 및 산업트렌드 분석을 통해 줄기세포 미래상 아이디어 도출 및 예측 추진
- 현재 역량과의 통찰 비교를 통해 줄기세포치료 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한 준비
ㅇ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됨
- 줄기세포 연구개발의 다변화
▶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직접교차분화,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오가노이드 등
- 줄기세포 기반의 신약개발, 조직공학 등 융복합 연구로 줄기세포의 활용 영역 확대 추세
▶ iPSC를 이용한 신약개발 효율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인간장기 제작
-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에서 줄기세포 연구재료에 대한 범사용적 사용으로으로 '줄기세포 서비스 산업' 확대 전망
▶ 세포주, 배지 및 성장인자, 배양용기, 분석시약, 연구용역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아질 전망
-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은 연평균 24.1%의 고성장 추세
- 줄기세포 산업은 줄기세포 은행 및 일부 질환에 국한된 줄기세포치료제/ 기술 중심에서 나아가 신약개발 및 질환모델링, 조직재생, 개인맞춤형 줄기세포 플랫폼 등 활용영역의 확대 추세
▶ (치료산업)
조작이 용이하고 실용화가 빠른 성체줄기세포 시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가시화
▶ (융합산업) 유전자치료기술과의 융합, 약물테스트 등 신약개발,
3D 프린팅기술을 통한 장기제작 등 융복합을 통해 산업적 영역 확대
▶ (플랫폼산업)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에서 줄기세포 연구재료에 대한 범용적 사용 등으로 줄기세포 서비스 산업 확대
-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는 엄격한 관리 하에
▶ 배아줄기세세포 및 iPSC 은행 구축 및 운영
▶ GMP 등급의 고품질 줄기세포주 확보 및 수집에 노력 중
#2_ 새로운 의료서비스 시장의 도래 |
※ 새로운 의료서비스 시장 (클릭)
ㅇ 시사점 및 기본 방향
⓵ 미래유망기술 R&D 기업과의 업무 제휴 확대
향후 급성장 예상되는 융합 및 플랫폼 유망산업 필수기술 보유기업과의 업무 제휴 확대 필요
- 줄기세포치료제의 글로벌 리더
- 질환모델링의 틈새시장 확보 전략(Fast Innovator),
- 오가노이드의 개척가 융합전략(New Pioneer),
- 연구/산업화 공통기반기술의 국산화전략(Base Founder) 및 해외진출 전략
⓶ 줄기세포 치료제를 활용한 치료서비스 도입
- 줄기세포 치료를 위한 필요 역량 분석 / 핵심역량 배양
- 줄기세포 치료보조를 위한 인력 양성 / 채용
⓷ 재생의료 산업 생태계에서의 우위 선점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필요
.계속.
'97_줄기세포치료 및 면역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기세포 정의 (0) | 2021.08.14 |
---|---|
Stem Cell Technology™ 투자 방향 (0) | 2021.08.14 |
단일클론항체(mAB) (0) | 2021.08.13 |
의약품 분류 (0) | 2021.08.13 |
CDC 메커니즘 은... CAR-T 의 부작용 CRS 발현을 억제 할 수도 ~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