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for Acute Lymphoid Leukemi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위한 CAR-T)
- ALL 환자: 흔히 '백혈병' 환자를 의미합니다.
■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for Refracto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불응성 광범위 큰B세포 림프종)
- DLBCL 환자: 흔히 '림프종' 환자를 의미합니다
■ Leukapheresis (백혈구 성분 분리 채집); CAR-T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병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의 약들은 제약사가 공장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제작해 병원에 보내면 되지만 CAR-T 치료제는 제조과정에서 환자의 세포를 채집하고 동결·해동하는 등 병원의 비중이 크다. CAR-T 치료제 생산을 위해서는 우선 병원에서 신장투석과 비슷한 원리의 ‘백혈구 성분 분리 채집(Leukapheresis)’을 통해 환자 혈관 내 T세포를 채집해야 한다. 병원에서 이를 동결해 제약사에 보내게 되고 제약사가 T세포에 암세포에 반응하는 CAR를 발현시키면 비로소 CAR-T 치료제가 만들어진다. 제약사는 해당 CAR-T 치료제를 다시 얼린 후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에서는 이를 녹인 후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일련의 과정이 진행된다.
반응형
'97_줄기세포치료 및 면역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성 중입니다) CAR-T 치료제 미국 FDA 허가 현황 - 2021년 11월 기준 (0) | 2021.11.23 |
---|---|
PD-1, PD-L1 (0) | 2021.11.22 |
큐로셀 (김건수 대표): CAR-T cell 치료제 개발 회사 (2017년 설립, 대전 소재) (0) | 2021.11.21 |
엑소점(Exosome, 소포체) (0) | 2021.10.18 |
줄기세포 배양액이란?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