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분법

사실 - 가치의 분리 ; 목적이 사라지고, 윤리가 사라지고 목적이 배제되면 가치가 약화되는데, 이는 과학적 지식으로 얻게 되는 사실과 인격적 지식으로 얻는 가치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를 사실-가치의 분리라고 하며, 이분법적 사고 체계인 것이다. 이를테면, 시간을 알리는 시계의 목적이 배제되거나, 오용되거나 사라지면 시계의 가치는 약화되거나 사라진다. 더보기
계몽사상의 열매 .... 타당성 구조 Plausibility Structure 위 그림은 뉴비긴이 사용한 '타당성 구조'라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타당성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설득력있는 그림은 아니지만 최대한 이해하고 싶어서 나름대로 표현을 해보았습니다. 그림 설명 모두 어둠을 밝히는 조명 도구입니다. 그림A에서, 매우 짜임새 있게 조직화된 호롱불이 불빛을 발하고 있는 모습니다. 기름이 그릇에 잘 들어 있으며, 심지와 불을 보호하는 바람막이도 있습니다. 기름이 계속하여 공급되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저는 기름 공급의 원천을 참된 이야기인 '성경'으로 보았습니다. 그림B에서, 촛불의 열기로 인해, 자신의 형체가 없어지는 사람을 표현하였습니다. 자신을 뽑아내어 결국 본래의 자신의 모습을 상실하는 과정 가운데 있습니다. 하지만 그림A는 자신의 모습을 상.. 더보기
[세계관 제1부]13. 《문화적 엘리트 의식》뽀개기 ~ 자유주의 신학은 하층부에 자연주의를 수용하고 나서 상층부에만 국한된, 자연이나 역사로부터 완전히 단절된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를 재건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창조"는 하나님이 실제로 행한 어떤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언어일 뿐이다. "타락"은 역사상 일어났던 사건이 아니라, 단지 만연한 도덕적 부패의 상징일 뿐이다. "구속"은 의미와 목적의식을 지칭하는 것이지, 예수의 빈 무덤이 역사적 사실인지 여부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남은 신학은 너무나 얄팍해서 결국 다른 곳에서 해석의 틀을 빌려 오게 된다. ■ 빌려온 해석의 틀 ① 실존주의 (신정통파) ② 마르크스주의 (해방신학) ③ 페미니즘 (여성해방신학) ④ 과정사상(..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