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물리치료 Healing is Voltage

[ ◑ 나는 다리가 짧아요 ~ ] 탐슨 박사- 단족의 이유

탐슨 박사는 카이로프래틱 치료에서 매우 저명한 분입니다. 그가 설명하는 단족의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단족의 개념 The short leg concept - Why a short leg analysis?

1. 폄근의 긴장성 수축

The leg imbalance we will examine is the spastic contraction of the extensor muscles in the lower spine and pelvic girdle.
우리가 살펴볼 다리 불균형(leg imbalance)은 아래쪽 척추와 골반에 부착된 폄근의 긴장성 근육수축때문이다.
While there are many reasons for a short leg (bone deformities, pathology, trauma, joint involvement, or breakdown of the arch), our focus will be the spastic muscular contraction.
뼈 기형, 병리학, 외상, 관절 문제 또는 발활의 무너짐 등이 짧아진 다리의 원인이지만, 우리의 초점은 긴장성 근육수축입니다.

2. 짧아진 다리 (Short leg) → 《구축된 다리 (Contracted leg)》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the short leg analysis, we'll examine a more accurate and descriptive phrase, the contracted leg.
짧아진 다리 분석을 함에 있어서 연관성을 높이기위해보다 정확하며 잘 묘사할 수 있는 용어인 구축된 다리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This denote the neuropathological relationship seen in many patients.
구축된 다리는 많은 환자에서 발견되는 신경병리학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연 설명: 신경 손상을 받은 환자의 경우에 구축된 다리가 많이 발견되며, 결과적으로 짧아진 다리가 되는 임상 사례가 많다라는 뜻입니다)


2. 《구축된 다리 (Contracted leg)》는 아래 허리의 폄근육들을 과도하게 신경지배하였기 때문이다

※ 구축: 병적인 수축이 오래되어, 몸이 적응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The term contracted leg emphasizes the origin of the neurological imbalance, which appears as an interventional overload in the extensor muscles, causing unilateral spastic contraction and unequal extremities.
《구축된 다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신경학적 불균형의 기원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 부연 설명: 단순히 짧아졌다라는 사실을 표현하기 보다는 그 기원이 신경계 영향임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이 신경학적 불균형폄 근육을 과도하게 신경지배하였을 때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한 쪽 긴장성 수축불균형 사지를 초래합니다
This spasticity occurs when certain muscles are overstimulated.
(이러한 강직(spasticity)은 특정 근육들이 과도하게 자극받았을 때 나타납니다)

연축과 강축의 차이

 강축(tetanus)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뼈대근육의 전기적 특성 3 가지 중에 하나인 것을 아실 것입니다.
1) 수축 : 연축, 강축(tetanus)
    (1) 연축(twitch)
          ① 수축성 반응(contractive reaction)
          ② 단일 자극(활동전위) 0.1 초
          ③ 이완을 수반시키는 짧은 수축
    (2) 강축(tetanus)
          ① 계속적(반복적) 자극으로 인한 강축성 수축
          ② 가중(summation)
2) 역치 강도: 자극이 유효가기 위해서는 역치 이상의 충분한 강도로 자극해야 한다
    (전류의 강도(intensity), 통전 시간(duration of current flow), 전류가 최대강도에 도달하는 속도)
3) 역치 강도는 통전 시간과 최대 강도에 도달하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위상이 길면 낮은 강도, 위상이 짧으면 높은 강도에서 수축이 있어난다 

 강축(tetanus,지속근강직): 근육에 두 개 이상의 자극을 짧은 간격으로 반복하여 가하면 하나하나의 단수축이 융합하여 보다 큰 수축이 나타난다. 이러한 수축을 강축이라 한다. 강축시 최대장력은 한 개의 수축시의 몇 배에 이른다. 반복자극 간격이 충분히 짧을 때에는 완전히 융합하고 그 수축곡선은 원활해지는데 이것을 완전강축(complete tetanus)이라 한다. 반복자극의 간격이 중간정도인 때는 완전히 융합되지 않고 수축곡선이 동요하는데, 이것을 불완전강축(incomplete tetanus)이라고 한다. 강축을 일으킬 수 있는 자극의 빈도는 근육의 종류나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비정상적인 근긴장 : 1) 저긴장증 2) 과긴장증

강직(Spasticity)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이와 연관된 용어을 살펴보면서 차이를 정리하겠습니다.

<저긴장증(Hypotonia)> 아래운동신경세포 병변, 원인(뇌허혈/저산소중, 뇌내출혈)
     저긴장증(hypotonia): 수동적 신장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낮은 저항을 말한다
     이완(flaccidity): 수동적 신장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결핍된 저항을 말한다

<과긴장증(Hypertonia)> 위운동신경세포 병변, 원인(일부 바닥핵 질환)
     ① 강직(spasticity,속도-의존적 과긴장증):
          - 속도의존적 과긴장증 (velocity-dependent hypertonia)
          -  천천히 신장시키면 저항은 작고, 빨리 신장시키면 저항은 커진다
     ② 경직(rigidity,속도-비의존적 과긴장증):
           - 속도비의존적 과긴장증 (velocity-independent hypertonia)
           - 움직임의 속도에 관계없이 수동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은 일정하다
            * 대뇌제거경직(팔: 폄,   몸통/다리: 폄, 발목: 발바닥굽힘)
            * 겉질제거경직(팔: 굽힘,  목/다리: 폄,  발목: 발바닥굽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