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_물리치료 Healing is Voltage

허리 통증에 대한 통찰 - 엉치엉덩관절 힘결합 Force closure of Sacroiliac joint

허리 통증, 무릎 통증, 엉덩이 통증이 있는 경우 
엉치엉덩관절의 힘 결합(force closure)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치료 범위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엉치엉덩관절(SacroIliac joint)은 상체의 체중 부하를 원만하게 다리로 이동시키고 
    또한 발에서 오는 지면 반발력의 충격을 원만하게 흡수하는 작용을 합니다.
    정상적인 운동 범위, 올바른 근육의 기능, 여러 가지 요소를 조화롭고 적절하게 안정화시키는 능력 등에 따라
    정상적 운동 기능이 결정될 것입니다.
    어떤 이론적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Panjabi의 개념 모델(1992)은 척추의 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제 생각에 엉치엉덩관절의 안정성과 관련된 요소를 이해하는데 특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이 됩니다.
오늘은 Panjabi의 개념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허리 통증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하고, 통증의 원인을 찾을 때 이론적 접근을 위한 기초 공부를 해 보겠습니다.

● 허리-골반-엉덩관절은 우리 몸 상체의 무게를 다리로 전달하는 협력기능을 합니다.
특히 보행 시 허리-골반-엉덩관절 사이의 효율적인 상호 작용은 무릎과 발목에 전달되는 하중 부담을 줄여 줄 것입니다. 즉, 무릎 통증과 발목 통증의 원인골반 문제에 기인될 수도 있습니다.

골반 안정의 핵심: 자기 잠김, 형태 결합, 힘 결합

골반의 뼈들은 근육과 인대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힘결합(Force closure) 라고 합니다. 특수한 구조적 특징(형태 결합 Form closure 라고 함) 그리고 특정 부하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근육과 인대 때문에 우리 몸에 체중이 부하가 될 때, 엉치엉덩관절(SI joint)이 움직이지 않게 관절 압착이 되도록 창조되었습니다.
이것을 자기 고정(self-bracing), 가기 잠김(self-locking)이라고 합니다(Snijder 1993, Vleeming 1990a, 1990b, 1997). 정말 놀랍지 않나요 ~~
이러한 체중이 부하가 되더라도 엉치엉덩관절의 전단(shearing) 막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이며 근육학적인 상호 결합에 의해 마찰력 그리고 맞물린 융기와 홈으로 운동성을 제한하게 됩니다.  엉치엉덩관절의 제한된 운동성을 "골반 안정화" 라고 합니다. 골반이 안정이 되어야 체위성 부하시 관절의 이동을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완벽한 힘 결합(Force closure)으로 골반이 들어 맞는다면 아무런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운동을 불가능하게 되지만, 적당한 힘 결합(Force closure)으로 인해 골반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엉치엉덩관절의 안정성은 형태 결합(form closure)과 힘 결합(force closure)의 복합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근막을 통한 부하 이동과 함께
엉치엉덩관절(Sacroiliac joint)을 가로지르는 근육의 힘 때문에 
관절 압착이 일어날 수 있다

 

힘 결합 (force closure) - 내부 코어, 외부 코어

엉치엉덩관절(SI joint)의 힘 결합은 다음 두 가지 경우에 이루어집니다.

1) 엉치뼈의 앞기울임(nutation)을 일으키는 모든 능동적 힘이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이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기회에 하며, 오늘은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엉치뼈의 앞기울임(nutation)은 다음의 경우에 발생합니다.
   - 엉치바닥(sacral base)의 전방회전 (예를 들어, 뭇갈래근, 척추 폄근, 엉치허리근육의 수축)
   - 엉덩뼈의 후방 회전 (예를 들어, 넙다리뒷근(biceps femoris), 배곧은근(rectus abdominalis)의 수축)

엉치뼈의 앞기울임에 의해 엉치엉덩관절의 주변 조직들(근육, 인대 등)은 팽팽한(긴장된) 상태가 되어 힘 결합 기전을 도와 엉치엉덩관절의 압착을 증가시키고, 이것은 체중 부하 이동을 위한 엉치엉덩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Vleeming 1997)

2) 근막 수축에 의해 발생합니다.
등허리근막(thoracolumbar fascia), 등배근막(thoracoabdominal fascia)은 골반 뿐만 아니라 허리뼈, 엉덩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근육 약화, 부적당한 수축 시점이나 부적절한 조합 같은 문제가 생기게 되면
엉치엉덩관절의 힘 결합(force closure)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게 됩니다.
환자는 이런 기능부전을 보완하기 위해 보상적 운동 패턴을 만들어 걷거나 뛰게 됩니다.
보상적 운동패턴은 허리 아래쪽이나 골반, 엉덩관절, 무릎관절의 대상 부전을 가져오기도 합니다(Lee 1997a)

허리 통증, 무릎 통증, 엉덩이 통증이 있는 경우 엉치엉덩관절의 힘 결합(force closure)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치료 범위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내부 코어 
Inner Core
외부 코어
Outer Core
배안-골반안 전방경사 시스템
Anterior Oblique System
후방경사 시스템
Posterior Oblique System
가쪽 시스템
Lateral System

 

 

위의 그림에서 전방경사 시스템(AOS, Anterior Oblique System)은 
    - 오른쪽 의 배속빗근(IAO, Internal Abdominal Obliique)과
     왼쪽의 배바깥빗근(EAO, External Abdominal Oblique)이
     - 앞배근막(AAF, Anterior Abdominal Fascia)에 의해
     - 오른쪽의 모음근(Adductors)에 연결됩니다.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alis)이 먼저 수축을 한 후에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이 수축할 수 있도록 한다.
●  뱃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아래쪽 수평 섬유는 엉치엉덩관절을 지지하는 배가로근의 역할을 도와줍니다.

 

 

가쪽 시스템(Lateral system)은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허벅지의 반대쪽 모음근(adductors)으로 구성되며,
이것의 기능은 힘 결합(force closure) 보다는 골반대의 올바른 기능에 보다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습니다.

만약에 엉치엉덩관절(SI joint)이 불안정하면, 
이 근육들(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허벅지의 반대쪽 모음근)이 반사 억제(Lee 1999)를 가져와
엉덩관절의 무력감(giving away)으로 인해 한 쪽 다리가 일시적으로 무력해지는 현상슬리핑 클러치 증후군(Slipping Clunch Syndrome)을 느끼게 되기도 합니다. (Dorman 1994, Vleeming 199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