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_유배자의 영성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서...삶의 의미는 "자유로워지는 것"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서 다음과 같이 질문을 하면,
선한 것 그들의 가치가 아니라고 말을 합니다.

 

지금 이 시대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배하는 세대 입니다
지금 세대에게 중요한 인생의 의미는 더 이상 "선을 추구하는 것" 이 아닙니다.

저는 이러한 메시지와 광고를 듣고 자랐습니다. 요즘 세대는 특히 더욱더 그러한 메시지를 담은 영상과 매채들을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저의 짧은 통찰력으로 지금 한국의 상황을 전문가적으로 진단하지는 못합니다.
분명한 것은 물질주의와 개인주의가 한국 문화 전반에 깔려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즉, "믿지 않는 문화"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우리 의식과 행동을 지배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특이하게도,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떤 특정한 형태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합니다.
젊은층에게는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모든 젊은이가 포스트모더니즘에 강한 매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시골보다는 도시를 중심으로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발흥하기 전에
"나 자신 보다는, 국가 혹은 가족 공동체, 하나님을 위해 살아가는 것이 우선하였습니다"
"내 인생의 의미는 나의 의무를 다하는 것" 이라고 말을 했습니다.
"이기적인 사람이 되지 않는 것"이라고 말을 했습니다.
이러한 생활태도의 중심에는 종교적인 개념이 자리잡고 있기때문에 
그들이 삶을 바라보는 태도 역시 종교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인 진리"가 있습니다. 그 진리는 자신의 외부에 있는 것이며 존중하는 입장이었습니다.
또한 "죄책감과 수치감"이 있었기에 도덕적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의 감정을 품고 있었습니다.
더불어서 "물질을 초월한 행복이 있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이 발흥 한 후에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가치관과 행동 양식으로 변하는 것일까요?
제가 뿌리를 찾는 것이 정답이 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해를 하고 싶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하고 싶습니다.

유럽의 계몽운동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중세 문화는 종교적 색체가 매우 강하였습니다. 권위적이고 억압적이었습니다.
중세 시대의 기독교 문화는 많은 잘못을 하였습니다.
교회는 국가 위에 존재하였지만, 바른 길로 인류를 인도하지 못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잘못된 교회문화가 만연한 모습을 알아보겠습니다.

철학자 데카르트가 난로 옆에 앉아 자신이 존재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고민하는 동안
아프리카 사람들은 대성양을 건너 노예로 팔려 운송되고 있을 때, 교회는 인간의 존엄성무시하고 방치를 하였습니다.
아프리카 사람들을 마치 물건처럼 소유하며 채찍질하고 일회용품처럼 취급한 그리스도인은 너무 많았습니다.

저의 짧은 생각에 근대성(modernity)의 발현
하나님께서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인류를 깨닫게하시는 계몽 운동이며,
사회 변혁을 위한 개혁 운동이라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한 계몽 및 개혁을 위한 수단인
교육과 과학 기술의 발전을 통해 진보할 수 있도록 하신 것입니다.

저는 이것을 허락된 진보 사상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계몽주의에서 강조하는 진보 사상과는 다르게 사용하고 싶습니다.  계몽주의에서 강조하는 근대성의 가정인 진보사상은 합리적 사고라는 '자율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전통, 교회, 신앙의 영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는데, 
이런 근대성의 가정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허락된 진보사상"이라는 용어를 통해서 구별하여 사용하고자 합니다.

인간의 이성과 생각을 통해서 인류가 발전할 수 있다고 하는 진보사상은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 그리고 원자 폭탄을 통해서
과학기술의 발전이 더 이상 인류를 발전시킬 수 없음이 검증되었습니다.  

또한 홀로코스트, 킬링필드, 르완다 대학살 사건 등을 통해서
인간 이성이 마비되어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비인간화" 될 수 있음도 증명되었습니다.
따라서 근대성(modernism)의 대표적 특징인 진보 사상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3가지에 대한 생각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4년 여름에 허리케인 챨리가 미국 플로리다를 강타하였을 때 생필품 부족이 있었습니다. 이때 상인들이 가격 폭리를 취한 사건을 통해서 위 삼각형을 설명한 책 <정의란 무엇인가, Part 4 윤리>을 참조하시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